[스크랩] 34)뢰천대장(雷天大壯) 大壯(대장)은 利貞(이정)하니라. 해설) 대장은 바르게 하는 것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大壯(대장)은 大者(대자) 壯也(장야)니 剛人故(강이동고)로 壯(장)하니 大壯利貞(대장이정)은 大者(대자)正也(정야)니 正大而天地之情(정대이천지지정)을 可見矣(가견의)리라. 해설) 단에.. 주역 2017.07.06
[스크랩] 33)천산돈(天山遯) 遯(돈)은 亨(형)하니 小利貞(소이정)하니라. 해설) 은둔한 생활을 하면 형통하니, 바르게 하면 조금 이로우니라. [遯:피해 숨을 돈] 彖曰(단왈) 遯(돈) 亨(형)은 遯而亨也(돈이형야 )나剛當位而應(강당위이응)이라 與時行也(여시행야)니라. 小利貞(소이정)은 浸而長也(침이장야).. 주역 2017.07.06
[스크랩] 32)뢰풍항(뢰풍항) 恒(항)은 亨(형)하야 无咎(무구)하니 利貞(이정)하니 利有攸往(이유유왕)하니라. 해설) 恒은 형통하여야 허물이 없으니 가만히 있으면 이롭다. 갈 바가 있어도 이로울 것이다. [恒:항상할 항. 攸:바 유] 彖曰(단왈) 恒(항)은 久也(구야)니 剛上而柔下(강상이유하)하고 雷風.. 주역 2017.07.06
[스크랩] 31)택산함(澤山咸) 咸(함)은 亨(형)하니 利貞(이정)하니 取女(취녀)면 吉(길)하리라. 해설) 함은 형통하니 바르게 하면 이로우니 여자를 취하면 길하리라. [咸:느낄 함. 取:취할 취] 彖曰(단왈) 咸(함)은 感也(감야)니 柔上而剛下(유상이강하)하야 二氣(이기) 感應以相與(감응이상여)하야 止而說(지.. 주역 2017.07.06
[스크랩] 30)중화리(重 火 離 ) 重 火 離 1)이괘는 선천의 마지막 괘이다. 2)이는 걸려 있다. 태양이 공중에 걸려있다. 해를 중심으로 설명을 하였다. 3)불이 2개이니 화력이 강하다. 경솔한 행동을 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암소를 기르면 길하다고 하였다. 이괘를 보고 그물을 고안하였다. 1효가 변할 때: 함부로 움직이지 .. 주역 2017.07.06
[스크랩] 29)중수감(重 水 坎 ) 重 水 坎 1)감괘는 흐르는 물이다. 고여 있는 물은 연못(澤)이다. 2)외부적으로는 험난한 시기이다. 내부적으로는 내실이 있고 심학이다. 3)사대난괘(수뢰 둔,중수 감,수산 건, 택수 곤)중의 하나. 4)삼라만상의 최초는 물이다. 물은 1,6 이다. 1효가 변하거나 주가될 때 : 점점 수렁만 깊어진다.. 주역 2017.07.06
[스크랩] 28)택풍대과( 澤 風 大過 ) 澤 風 大過 1)대과는 기둥이 지붕의 무게에 눌려 휘어지는 것을 비유한 것. 2)남녀관계에서 불륜에 빠져있는 모습이다. 3)가운데 4개의 양효는 강하고 처음과 끝의 음효는 음효로서 약하다. 4)단체조직에서 상하를 연결하는 중간통로가 막혀 장애물이 강하다. 1효가 변하거나 주가될 때 : 정.. 주역 2017.07.06
[스크랩] 27)산뢰이( 山 雷 頤 ) 山 雷 頤 1)이괘는 기르는 것이다. 올바르게 길러서 길이 변함이 없으면 길할 것이다. 2)마음을 기른다. 몸을 기른다. 덕을 기른다. 사람을 기른다. 백성을 기른다. 이 모든 것은 입으로 기인한다. 3)이괘의 모양이 입을 벌리고 있는 형상이다. 음식은 養也라. 입은 음식을 먹어서 몸을.. 주역 2017.07.06
[스크랩] 26)산천대축( 山 天 大畜 ) 山 天 大畜 1)음이 양을 키우는 괘가 소축 이었다면, 양이 음을 키우는 괘가 대축이다. 2)대축은 큰 희망을 품는 자는 먼저 힘을 길러야한다. 인덕, 지식, 인재, 자금을 충분히 저축하고, 정기가 넘쳐흘러야 비로소 대사를 치룰 수 있다. 3)하괘인 하늘의 기를 크게 저축하여 상괘인 산천의 .. 주역 2017.07.06
[스크랩] 25)천뢰무망( 天 雷 无妄 ) 天 雷 无妄 1)천부지성이 복괘에서 회복이 되었으니 망녕이 없으니 무망이다. 2)하늘이 움직이는 것이 무망. 대자연 그대로를 뜻한다. 3)사심이 없이 속임수를 버리고, 되는대로 내버려 두는 것. 뜻하지 않았던 일에 부닥쳐도 동요하지 않고 조용히 솔직히 그것을 받아들이는 것. 1효가 변.. 주역 2017.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