遯(돈)은 亨(형)하니 小利貞(소이정)하니라.
해설)
은둔한 생활을 하면 형통하니, 바르게 하면 조금 이로우니라.
[遯:피해 숨을 돈]
彖曰(단왈) 遯(돈) 亨(형)은 遯而亨也(돈이형야 )나剛當位而應(강당위이응)이라 與時行也(여시행야)니라. 小利貞(소이정)은 浸而長也(침이장야)일세라.遯之時義(돈지시의) 大矣哉(대의재)라.
해설)
단에 가로되 遯亨은 물러나서 형통하나, 강한 것이 합당한 자리에서 응하여. 때에 맞추어 행함이라. 小利貞은 음이(소인)점점 자라기 때문이니, 돈의 시기와 뜻이 크도다.
[剛:굳셀 강. 應:응할 응. 浸:담글 침]
象曰(상왈) 天下有山(천하유산)이 遯(돈)이니 君子(군자) 以(이)하야 遠小人(원소인)호대 不惡而嚴(불악이엄)하나니라.
해설)
상에 가로되 하늘 아래 산이 있는 것이 돈이니, 군자가 이로써 소인을 멀리하되 미워하지 아니하고 위엄으로 다스린다.
[遠:멀 원. 惡:악할 악, 미워할 오. 嚴:엄할 엄]
현재상태 : 금은보배가 산 속에 숨은 형상이니 사람과 사업을 빨리 피하고 은둔해야 한다. 감옥에 있는 사람은 출옥하니 좋은 징조.
운세방향 : 허실이나 주위의 체면 때문에 본인의 결정을 애매하게 함으로써 더욱더 손해를 본다. 현재의 장소, 현재의 조건을 과감히 피하라. 미련을 갖지 말고 손을 떼어야 좋다. 불필요한 지출을 억제하고 수입, 지출의 균형을 유지할 것. 본인의 마음자세가 요즈음 나쁜쪽으로 향하고 있다. 남에게 시기받고 헐뜯기는 일도 많고, 생각지 않은 실수도 있다. 주위에 친한 사람이 도망가는 경우도 생긴다.
주 의 : 현재 상태에서 일을 시작하지 말 것. 감정에 치우치면 크게 손해. 화재, 가스 주의.
사 업 : 영화, 예능인, 종교가에게는 좋다. 다른 업종은 운세가 저조하다.
소 망 : 이루기 어렵다. 음력6월은 가능성이 있다.
건 강 : 불면증 주의. 여성은 냉병 주의. 집안 식구 질병 주의.
소 식 : 기다리지 마라.
성공비결 : 주위의 사람을 멀리하되 미워하지는 말고 엄하게 행동하라. 본인의 규칙적이고 절제된 생활이 현재를 성공으로 이끈다.
171
初六(초육)은 遯尾(돈미)라 厲(여)하니 勿用有攸往(물용유유왕)이니라.
해설)
초육은 도망하는데 맨 끝에 있어 위태하니 할 일이 있어도 하지 마라.
[尾:꼬리 미, 뒤를 밟을 미. 厲:위태로울 려. 勿:아니 물]
象曰(상왈) 遯尾之厲(돈미지여)는 不往(불왕)이면 何災也(하재야)리오
해설)
상에 가로되 遯尾之厲는 실행하지 아니하면 무슨 재앙이 있겠는가.
[何:어찌 하. 災:재앙 재]
실력과 능력이 있어도 일을 도모하지 않는 것이 좋다. 사람이든 물건이든 손을 떼고 피해야 한다. 계약이나 약속은 하지 말고 조용히 은인자중 하는 것이 현명하다. 후퇴를 할 때는 먼저하는 것이 유리하다. 세상 사람들을 잠시 피하는 형상. 재물운이나 사업 등은 잠시 손을 떼는 것이 좋다. 이동, 변경을 하지 말고 연장자의 건강에 유의.
실증)
1)잠자리가 어떠한가?의 점사에서 현재의 잠자리가 수맥파가 있어 잠자리를 옮긴 후로는 좋아졌다.
2)사업의 미래운세는?의 점사에서 갈수록 손해만 생겼다.
3)시골로 가는 것이 좋은가?의 점사에서 빨리 가는 것이 좋다고 판단하였다.
172
六二(육이)는 執之用黃牛之革(집지용황우지혁)이라 莫之勝說(막지승설)이니라.
해설)
육이는 잡아서 쓰되 황소가죽처럼 굳게 한다. 이것을 벗어날 수는 없다.
[執:잡을 집. 黃:누를 황. 革:가죽 혁. 莫:못할 막. 勝:극복할 승. 說:말 설, 벗을 탈]
象曰(상왈) 執用黃牛(집용황우)는 固志也(고지야)라
해설)
상에 가로되 執用黃牛는 뜻을 굳게 하는 것이다.
황소가죽처럼 굳건한 자세로 자기 몸을 지키는 것이 남에게 침범당하지 않는 최상의 방책이다. 전진도 불가하고 후퇴도 곤란한 시기이니, 현재의 주어진 상태를 고수하는 길이 현명하다. 주위의 상황에 민감하게 반응을 보일 필요가 없다. 환경이 불리하더라도 본인의 굳건한 의지력이 지금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건강에 유의하고 특히 심장에 신경쓸 것.
실증)
1)짐승들은 털갈이를 잘 하는데 황소는 가죽을 바꾸기가 어렵다는 의미인데 성격이 완고하여 융통성이 없다는 뜻이다.
2)출판물이 인기가 좋을까?의 점사에서 성과가 좋지 않았다.
3)모임에 탈퇴를 할까?의 점사에서 지금 당장은 탈퇴하지 않은 것이 좋다.
173
九三(구삼)은 係遯(계돈이라 有疾(유질)하야 厲(여)하니 畜臣妾(휵(축)신첩)에는 吉(길)하니라.
해설)
구삼은 은둔생활을 하려하나 메여있는 지라. 마음에 병이 들어있어 위태로움이 있으니 신첩을 기르는 것이 좋으리라.
[係:맬 계. 畜:돌볼 휵. 臣:신하 신, 하인 신. 妾:첩 첩, 계집종 첩]
象曰(상왈) 係遯之厲(계돈지여)는 有疾(유질)하야 憊也(비야)오 畜臣妾吉(휵신첩길)은 不可大事也(불가대사야)니라.
해설)
상에 가로되 係遯之厲는 병이 있어 곤함이요, 畜臣妾吉은 큰 일은 못하는 것이다.
[憊:고달플 비]
본인의 마음대로 행동할 수가 없는 상황이다. 외부적인 큰 활동은 곤란한 시기이니 추종자와 여자를 바르게 이끄는 것이 좋다. 조용히 생활을 하려고 하나, 마음은 여러가지 일들에 붙들려 있어 마음의 병이 상당히 많다. 소인의 세력이 강대하여 군자의 도는 물러가는 상태이다. 조용히 때를 기다리면서 현실에 충실하는 것이 상책이다. 신체상 컨디션이 좋지 않으니 기분전환 하는 것도 좋다.
실증)
1)사업을 그만 두려고 하는데?의 점사에서 얽혀있는 사람들이 많아서 그만두지 못했다.
2)소를 키우면 좋은가?의 점사에서 가축을 기르는 것은 좋은 일이다.
3)집을 수리할까? 새로 지을까?의 점사에서 내부 수리만 하였다.
174
九四(구사)는 好遯(호돈)이니 君子(군자)는 吉(길)코 小人(소인)은 否(비)하니라.
해설)
구사는 군자는 호돈(好遯)할 수 있으니 길하고, 소인은 그러하지 못하니 막힌다.
象曰(상왈) 君子(군자)는 好遯(호돈)하고 小人(소인)은 否也(비야)니라.
해설)
상에 가로되 군자는 好遯하고 소인은 否塞하리라.
지혜있는 자는 은둔해야 할 시기에는 미련을 버리고 피하여 다음의 기회를 기다리고, 어리석은 자는 눈앞의 이익에만 치우쳐 은둔하지 못하니 비색하고 애통한 일이 생긴다. 지금의 시점은 가벼운 마음으로 모든 것을 멀리하고 조용히 쉬어야만 운세가 밝아진다. 본인의 영향력이 좋아지고 있으나 지금은 나서지 마라. 얼마 후에 좋은 기회가 온다. 재물투자 등은 피해야 한다.
실증)
1)직장을 계속 다닐 수가 있을까?의 점사에서 좋은 조건으로 퇴직을 하였다.
2)지금까지 은둔하였던 사람은 이제부터 서서히 활동을 하는 계기가 온다.
3)공적인 일은 성공가망이 많으나 사적이고 비밀스러운 일은 막히는 시기이다.
175
九五(구오)는 嘉遯(가돈)이니 貞(정)하야 吉(길)하니라.
해설)
구오는 아름답게 물러남이니, 바르게 해서 길하니라.
[嘉:아름다울 가]
象曰(상왈) 嘉遯貞吉(가돈정길)은 以正志也(이정지야)라.
해설)
상에 가로되 嘉遯貞吉은 그 뜻을 바르게 하는 것이다.
아랫사람의 연정을 단호히 끊어버리고 바르게 나아가니 길한 징조가 보인다. 한걸음 물러서서 전선을 축소하고, 수비하는 태세로 만사에 임하는 것이 현명하다. 끊고 맺음을 시원스럽게 하여야만 미래가 걸림이 없이 풀리게 된다. 은둔을 하여온 사람이라면 지금부터 은둔이 끝나는 시기. 재물운세는 불길하다. 현재는 돈벌이에 신경쓸 시기가 아니고, 인간관계에서는 좋지 못한 사람과의 교제를 단호히 끊어서 정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증)
1)형제가 직장에서 어떻게 될까?의 점사에서 얼마 후에 은퇴하였다.
2)봉사활동을 하면 좋은가?의 점사에서 적선을 하는 일은 좋다고 판단하였다.
3)지인이 감옥에 있는데 이번에 출소할까?의 점사에서 감옥에서 나왔다.
176
上九(상구)는 肥遯(비돈)이니 无不利(무불리)하니라.
해설)
상구는 만족하고 여유있는 마음으로 물러남이니, 불리함이 없다.
[肥:살찔 비, 기름질 비]
象曰(상왈) 肥遯无不利(비돈(둔)무불리)는 无所疑也(무소의야)라.
해설)
상에 가로되 肥遯无不利는 의심되는 바가 없기 때문이다.
여유있는 마음을 가지고 멀리 여행을 가든지 멀리 떠나 몸을 쉬는 것이 좋은 형상이다. 즐거운 심정으로 휴식을 보내야 된다. 내일을 위한 오늘의 충분한 휴식이 필요한 시기이다. 쉬어야 할 시기에 잘 쉬는 사람은 활동할 시기에는 적극적으로 모든 일을 행한다. 재수운, 투자운세는 조금 후 다시 시작하여 재미를 본다. 취미생활에 열중하라.
실증)
1)노총각과 노처녀가 은둔생활을 끝내고 결혼을 하는 현상이다.
2)상대에게 변동의 운세가 있을까?의 점사에서 좋은 곳으로 변동을 하였다.
3)어르신의 건강이 어떠한가?의 점사에서 얼마 후에 별세하였다.
'주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35)화지진(火地晉) (0) | 2017.07.06 |
---|---|
[스크랩] 34)뢰천대장(雷天大壯) (0) | 2017.07.06 |
[스크랩] 32)뢰풍항(뢰풍항) (0) | 2017.07.06 |
[스크랩] 31)택산함(澤山咸) (0) | 2017.07.06 |
[스크랩] 30)중화리(重 火 離 ) (0) | 2017.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