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64)화수미제(火水未濟) 화수미제(火水未濟) 1)미제괘는 건너지 못했다는 뜻이므로 기제가 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자기수양을 게을리 하지 않아야한다. 2)전체의 효가 부정위(不正位)이다. 절서가 없는 시기이니 실력배양에 노력하여야한다. 내괘의 3효는 좋지 못할 것이고 왜괘의 3효는 기제가 되기 위해 좋.. 주역 2017.11.25
[스크랩] 63)수화기제(水火旣濟) 수화기제(水火旣濟) 1)기제괘는 6개의 효의 위치가 전부 정위(正位)이다. 만사가 질서정연하게 잘 정돈된 모습니다. 상괘인 물은 아래로 내려오고, 하괘인 불은 위로 올라가서 만나는 형국이다. 기제는 큰 어려움이 이미 지나갔다, 혹은 평정이 잘 되었다는 의미. 1효가 변하거나 주가될 때 .. 주역 2017.11.25
[스크랩] 62)뢰산소과(雷山小過) 뢰산소과(雷山小過) 1)소과는 소는 음을 뜻하니 음이 조금 지나쳤다는 의미이다. 4개의 음이 2개의 양을 에워싸고 있는 형상이다. 2)알에서 부화된새가 날아가는 형상이다. 6효와5효가 날개이고 4효와 3효는 몸통이고 2효와 1효는 날개의 형상이다. 비행기의 형태를 보여준다. 3)내괘와 외괘.. 주역 2017.11.25
[스크랩] 61)풍택중부(風澤中孚) 풍택중부(風澤中孚) 1)중부괘는 중을 지키기 위하여 誠, 信, 敬, 孚로 하여야 한다. 2) 새가 알을 품고 있는 형상이니 온갖 정성이 필요하다. 3)6효와5효를 묶어 ━으로 4효와 3효를 묶어 󰁌으로 2효와 1효를 묶어 ━으로 정리하면 모양이 ☲으 형상이 되어 중허(中虛)의 상으로 마.. 주역 2017.11.25
[스크랩] 60)수택절(水澤節) 수택절(水澤節) 1)절괘는 인간생활의 절도와 절재를 가르친다. 괘의 차례가 60번째 괘이고 60년이 되면 회갑이 되는 이치이다. 2)절은 사물의 절차를 말하고 알맞은 절이 있어야 안락을 얻는다는 것이다. 3)연못위에 물이 있는 것이 절이니, 물이 넘치거나 고갈되지 않도록 조절을 한다. 1효.. 주역 2017.11.25
[스크랩] 59)풍수환(風水渙) 풍수환(風水渙) 1)환은 하괘의 물이 상괘가 바람이니, 물위에 바람이 불면 수면위에 퍼져서 흩어지는 형상이다. 앞의 괘가 즐거움의 태괘이니 즐거움이 넘치게 되면 기운이 흩어지는 법이고 근심이 모이면 기운이 모이게 되는 이치이다. 2)환은 발전을 상징하고 풀어진다는 의미. 1효가 변.. 주역 2017.11.25
[스크랩] 58)중택태(重澤兌) 중택태(重澤兌) 1)연못은 갇혀있는 止水를 말하며 坎은 流水이다. 같은 물이나 형상이나 용도가 다르다. 연못의 물은 자연의 운치를 만들어주고 기쁨을 준다. 2)태는 혜택을 주고받는 것을 의미한다. 태는 마음의 희열을 나타낸다. 1효가 변하거나 주가될 때 : 화합하니 기쁘다. 2효가.. 주역 2017.11.25
[스크랩] 57)중풍손(重風巽) 중풍손(重風巽) 1)손은 겸손하다의 뜻이며 손(☴)이 두 개나 겹쳐있으니 더욱 겸손의 의미가 강하다. 또한 바람의 기운이니 바람이 일어나서 움직이는 형상을 보고 임간사로 비유하면 법령에 따라 시행하며 상의하달(上意下達)이 잘되는 형상이다. 1효가 변하거나 주가될 때 : 진퇴.. 주역 2017.11.25
[스크랩] 56)화산려(火山旅) 화산려(火山旅) 1)려괘는 내괘는 간(☶)으로 止가 되어 고정된 여관에 있으면서 외괘는 리(☲)가되어 산위에 불이 타는 것과 같은 나그네가 떠돌아다니는 모습이다. 2)간괘가 고정이 되어있는 것은 개인이 자기 집에 머무르는 것과 같다.집에서 살고있는 우리의 인생살이가 려.. 주역 2017.11.25
[스크랩] 55) 뢰화풍(雷火豊) // // 뢰화풍(雷火豊) 1)풍괘는 태양이 중천에 도달한 정오의 때를 상징한다. 번개나 태양과같이 가장 밝은 것을 뜻하니 문명이 최고도로 발전된 시기가 풍이다. 2)진(☳)의 동방에서 해가 뜨서 午시인 리(☲)에 돌아오는 형상이다. 1효가 변화거나 주가될때: 협조자를 만나면 허.. 주역 2017.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