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수미제(火水未濟)
1)미제괘는 건너지 못했다는 뜻이므로 기제가 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자기수양을 게을리 하지 않아야한다.
2)전체의 효가 부정위(不正位)이다. 절서가 없는 시기이니 실력배양에 노력하여야한다. 내괘의 3효는 좋지 못할 것이고 왜괘의 3효는 기제가 되기 위해 좋아질 것임
1효가 변하거나 주가될 때 : 분수를 지키지 않으니 흉하다.
2효가 변하거나 주가될 때 : 자기 자기를 지키니 길하다.
3효가 변하거나 주가될 때 : 여럿이 도우면 길하다.
4효가 변하거나 주가될 때 : 바르면 후회가 없고 성심을 나중에는 대성한다.
5효가 변하거나 주가될 때 : 바르게 하니 흉은 없다.
6효가 변하거나 주가될 때 : 절도있는 생활을 하고 본능을 억제하면 좋아진다.
未濟는 亨하니 小狐ㅣ 汔濟하야 濡其尾니 无攸利하니라.
미제 형 소호 흘제 유기미 무유리
미제는 형통하니, 작은 여우가 거의 건너서 그 꼬리를 적심이니, 이로울 바가 없느니라.
*미제 형-기제가 되기 위한 것으로 형통하다는 뜻
*소호흘제-거의 건너려는 형상, 여우는 의심이 많은 짐승이니 세상이나 주위가 믿지 못하는 경향이 많다.
*흘-거의 흘
*유기미- 꼬리를 적시었다. 예를 들면 마음공부를 하기위하여 앉아 있으면 망상이 끊임없이 생겨나 정신통일이 안 되는 형상.
彖曰 未濟亨은 柔得中也ㅣ오 小狐汔濟는 未出中也ㅣ오
단왈 미제형 유득중야 소호홀제 미출중야
단에 가로되 未濟亨은 柔가 中을 얻음이요, 小狐汔濟는 가운데에서 나오지 못함이요,
*유득중야-육오인 음효가 유(柔)인데 득중을 하였다.
*미출중야-구이 효가 험한 가운데에서 탈출을 못하고 있다.
濡其尾无攸利는 不續終也ㅣ라. 雖不當位나 剛柔ㅣ 應也ㅣ니라.
유기미무유리 불속종야 수부당위 강유 응야
濡其尾无攸利는 이어서 마치지 못함이라. 비록 位가 마땅치 않으나 剛과 柔가 응하니라.
*불속종야-유종의 미를 거두지 못하였다.
*강유응야-육효 전체는 부정위(不正位)이나 전체의 효는 상응은 되어있다.
象曰 火在水上이 未濟니 君子ㅣ 以하야 愼辨物하야 居方하나니라.
상왈 화재수상 미제 군자 이 신변물 거방
상에 가로되 불이 물 위에 있음이 未濟니, 군자가 이것을 보고 물건을 분별하여 방소에 거처하느니라.
初六은 濡其尾니 吝하니라.
초육 유기미 린
초육은 그 꼬리를 적심이니 인색하니라.
象曰 濡其尾ㅣ 亦不知ㅣ 極也ㅣ라.
상왈 유기미 역부지 극야
상에 가로되 濡其尾는 또한 알지 못함이 극에 있기 때문이다.
九二는 曳其輪이면 貞하야 吉하리라.
구이 예기륜 정 길
구이는 그 수레를 당기면 바르게 해서 길하리라.
*예기륜-갈 수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아니 가는 것.
*유기미-꼬리가 적시어 못가는 형상.
*정(貞)은 경계하는 말이다. 만약에 정(正)으로 하지 않으면 흉하다는 것이 내포되어 있다.
象曰 九二貞吉은 中以行正也ㅣㄹ새라.
상왈 구이정길 중이행정야
상에 가로되 九二貞吉은 中으로써 正을 행함이라.
六三은 未濟애 征이면 凶하나 利涉大川하니라.
육삼 미제 정 흉 이섭대천
육삼은 未濟에 가면 흉하나, 대천을 건넘이 이로우니라.
象曰 未濟征凶은 位不當也ㅣㄹ새라.
상왈 미제정흉 위부당야
상에 가로되 未濟征凶은 位가 마땅치 않음이라.
九四는 貞이면 吉하야 悔ㅣ 亡하리니震用伐鬼方하야 三年에아 有賞于大國이로다.
구사 정 길 회 망 진용벌귀방 삼년 유상우대국
구사는 바르게 하면 길해서 뉘우침이 없으리니 ,움직여 귀방을 쳐서 삼년에야 승리를 하여 대국에서 상이 있도다.
象曰 貞吉悔亡은 志行也ㅣ라.
상왈 정길회망 지행야
상에 가로되 貞吉悔亡은 뜻이 행해짐이라.
六五는 貞이라 吉하야 无悔니 君子之光이 有孚ㅣ라 吉하니라.
육오 정 길 무회 군자지광 유부 길
육오는 바른 것이라 길하여 뉘우침이 없으리니, 군자의 덕화로서 믿음이 있는지라. 길하니라.
*군자지광-도학적으로는 도인들의 뒤에 후광이 있는 형상.
象曰 君子之光은 其暉ㅣ 吉也ㅣ라.
상왈 군자지광 기휘 길야
상에 가로되 君子之光은 그 빛나는 것이 길하다는 것이다.
上九는 有孚于飮酒ㅣ면 无咎어니와 濡其首ㅣ면 有孚애 失是하리라.
상구 유부우음주 무구 유기수 유부 실시
상구는 믿음이 있어서 술을 마시면 허물이 없으려니와 머리를 적실정도로 마시면 믿음이 있어도 옳은 것을 잃으리라.
象曰 飮酒濡首ㅣ 亦不知節也ㅣ라.
상왈 음주유수 역부지절야
상에 가로되 飮酒濡首가 또한 節을 알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주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63)수화기제(水火旣濟) (0) | 2017.11.25 |
---|---|
[스크랩] 62)뢰산소과(雷山小過) (0) | 2017.11.25 |
[스크랩] 61)풍택중부(風澤中孚) (0) | 2017.11.25 |
[스크랩] 60)수택절(水澤節) (0) | 2017.11.25 |
[스크랩] 59)풍수환(風水渙) (0) | 2017.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