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적 담적

[스크랩] 오적산의 효능

我自覺 2018. 3. 2. 11:24

오적산 [五積散] 이란

 

창출(蒼朮) 7.5g, 마황(麻黃)·진피(陳皮) 각 3.75g, 후박(厚朴)·길경(桔梗)·지각(枳殼)·당귀(當歸)·건강(乾薑)·백작약(白芍藥)·백복령(白茯笭) 각 3g, 백지(白芷)·반하(半夏)·계피(桂皮)·천궁(川芎) 각 2.62g, 감초(甘草)2.25g으로 구성된 처방이다. 풍한(風寒)으로 두통이 나고 사지가 냉하고 가슴과 배가 아프고 구토·설사가 나며 내상(內傷)으로 인해 냉증이 생기는 등의 증상을 다스린다. 처방 중의 창출·후박·진피·감초는 위를 도와 습(濕)을 없애주고, 반하·진피·복령·감초는 내상으로 냉증이 생긴 것을 치료하여 기(氣)를 순조롭게 행하게 하고 습을 없애준다. 당귀·천궁·백작약은 혈(血)로 인해서 생긴 부조화를 치료하며 백작약·감초는 배가 아프거나 사지가 아프고 근육이 당기는 증상을 치료하며 백복령·생강·반하는 구토를 멈추게 해준다.

오적산이라는 이름은 오적(五積), 즉 기적(氣積)·혈적(血積)·담적(痰積)·식적(食積)·한적(寒積)을 풀어주는 약이라는 뜻에서 지어진 것이다. 기체(氣滯)하여 창만동통(脹滿疼痛)하고 혈체(血滯)하여 소복(小腹)·허리 등이 아프고 월경이 순조롭지 않으며 담체(痰滯)하여 흉격(胸膈)이 답답하며 식체(食滯)하여 명치부가 그득하며 한체(寒滯)하여 배가 차고 아프며 변이 묽은 것을 치료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이 처방은 음양표리(陰陽表裏)의 통용제라 할 수 있는데, 해표(解表)·온중(溫中)·제습(除濕)·거담(祛痰)·소비(消痞)·조경(凋經)·산어(散瘀:어혈을 풀어줌)·순기(順氣) 등의 여러 효능이 있기 때문이다.

 

가감법은 냉성복통(冷性腹痛)에 오수유(吳茱萸)를 더한다. 좌골신경통에는 마황·길경을 빼고 강활(羌活)·우슬(牛膝)·모과(木苽)·방풍(防風)·전충(全虫)·홍화(紅花)·회향(茴香)을 더한다. 오색대하(五色帶下)에는 마황을 빼고 형개수(荊芥穗)를 더한다.

감기로 머리가 아프고 몸이 아프며 뒷목이 뻣뻣할 때는 파뿌리 2개와 두시(豆&c#35913;:콩누룩) 7개를 더한다. 혈체(血滯)로 인한 경폐(經閉)에는 마황을 빼고 생지황(生地黃)·대황(大黃), 황금(黃芩), 소목(蘇木), 홍화(紅花)를 더한다. 복용법은 위 처방을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파뿌리 3개를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



오적산의 효능

 

우리나라 옛 한방 명의로써 전북 고 김창호 선생을 김 사물 이라 하고
전주의 고 최치문 선생 을 최 오적 이라 하고
전북의 고 허창수 선생 을 허 육미 라 하였고
전남 남원의 고 김광익 선생 을 김 보익 이라 칭 하였다.

 

오적산은. 기. 혈. 담. 음. 식. 의 오적을 치료 한다는 의미에서 오적이란 이름을 

 붙힌것인데 보혈 하는 동시에 혈액 순환을 왕성 하게 하며 모든 장기의 기능을

 항진시키는 효능이 있다.일반적 으로 한냉 밎 습기에 손상되여 발병 하는

 모든 질병에  잘 듣는다.

 


오적산의 처방 구성


최오적 방문 은 당귀 천궁 백작약 창출 진피 반하 후박 백복령 백지 지각 길경 각 1돈
마황 8푼 건강 육계 5푼 감초2푼 생강 3쪽 대추 2개

방약 합편의 처방 은 창출 2 돈, 마황 ,진피 각 1돈, 후박, 길경, 지각, 당귀, 건강, 백작약, 백복령, 각 8푼,

천궁, 백지, 반하, 계피, 각 7 푼, 감초 6푼, 생강 3쪽, 총백3본,

오적산 [五積散]의 적응증

급성위염·만성위염·위궤양·십이지장궤양·좌골신경통·요통·신경통·관절통·대하·생리불순·각기·소아마비·냉증 및 유행성 감기 등으로 인한 각종 장애 등이다.


(1)요즈움 고지혈증 ( 콜레스톨 )이 있다는 성인 

(2)비만 과 풍습으로 몸이 뚱뚱 하고 몸이 무겁고 자고나면 몸과 얼굴 수족 까지 

   부어서   아침에 빨리 일어나지 못 하고
    몸은 보기에 뚱뚱 하고 외형은 건강해 보여도, 항상 피로 하고 매사 불안 하고
    신경질과 신경 과민 증상을 보이며 일을 하여도 능률도 않나고, 힘만 든다는사람


(3)손발이 차고 아래 배가 차며 생리 불순 에 불임도 있고 불감증 까지도 있는 여성들
(4)산후 조리 불량으로 수시로 요통을 호소 하고 수족 저림과 무릅 시리고

    찬바람이 난다고 하며 빈혈과 혈액 순환이 잘않된다 하는 사람
(5)음식을 먹으면 잘 체하고 소화도 잘 않되여 식사후 소화 효소제을 복용 하고

    침 도맞고 하여도 잘 않낫고 만성 위장병 으로 고생 하는분
(6)사업상 수시로 많은 량의 술을 마셔서 항상 숙취가 있고 술을 먹고 이기지 못하는 분
(7)몸속에 콜레스톨 수치가 높으니 고지방을 피하고 저지방 음식과 채소와
    저염 식을 하라는 진단을 받은 분
(8)과도한 운동이후 신경 근육 통이 있고 담이 잘 결리고 신경과 근육에 이상이 게신분
(9)교통 사고 후유증, 타박상 높은데서 추락하여 피가 응결 되여 수시로

     진통제을 복 용 하시는사람.

 

소청룡탕의 효능

 

알레르기성 비염, 축농증, 천식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중국 후한시기부터 감기, 해소천식, 각종 고뿔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소청룡탕은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면 그 연조가 이천년 남짓된 오래된 약이다.

후한 말기 무렵 장사 지방의 태수 장중경이 쓴 상한론에서 보면 내부에 수독증이 있어

코 질환이나 기침을 하는 환자는 소청룡탕이 치료 효과가 있다고 나와 있다.

소청룡탕의 효능

- 해표산한(解表散寒): 맵고 따뜻한 약물로 수축된 피부 기육층의 혈관을 확장시키고 땀을 나게 한다.

- 온폐화음(溫肺化陰): 폐를 따뜻하게 하여 묽은 가래, 맑은 콧물 등의 한담을 땀과 소변으로 제거한다.

- 천명(숨이 차면서 목구멍에서 가래 끓는 소리가 나는 증상)이 있다.

- 콧물이 나고 재채기를 한다.

- 코가 막힌다.

- 춥고 열이 난다.

- 땀이 많고 두통과 몸살이 있다.

-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차며 기침이 난다.

- 맑은 콧물, 묽은 가래가 나온다.

- 몸이 쑤시고 무겁다.

- 얼굴, 팔 다리에 부종이 가끔 있다

- 상한(傷寒:추위로 인하여 생기는 병)으로 표(表:신체의 외부)가 풀리지 않고 심하(心下:명치 밑, 위안부)에

    수기(水氣:부종 또는 수종)가 있어서 한담(寒痰:팔 다리가 차고 마비되어서 근육이 군데군데 쑤시고

    아픈병,냉담)의 증후가 있을때

- 갑자기 전신이 붓고 소변량이 줄어드는 풍수(風水:풍사에 의해서 폐가 물의 기운을 제대로 다스리지 못해

    생기는 부종의 하나) 에 표증(表證)을 수반할 때.

소청룡탕에 들어가는 약재

- 마황,계지:땀을 내서 풀어준다.(발한해표)

- 계지, 감초: lge(항체)의 과량분비를 억제한다.

- 마황,세신,건강:히스타민 물질의 작용과 길항하여 콧물,재치기, 기침 증상을 억제한다.

- 마황,반하의 Ephedrine,세신: 교감신경을 흥분시켜 진해작용(기침을 그치게 함)을 한다.

- 오미자의 Gomisin A와 작약: 기관지 평활근 경련을 억제하여 진해(기침을 그치게 함),

    진정작용 하므로써 천식이나 감기로 인한 기관지의 경련성, 발작성 기침증상을 개선한다.

- 세신, 건강, 계지: 기관지 점말게 혈류를 증진하여 기관지의 면역기능을 강화하고

    찬바람 등의 자극에 의한 기관지 평활근 경련을 억제한다.

 

출처 : 옹고집건강촌(원)
글쓴이 : 둔재[옹고집] 원글보기
메모 :

'식적 담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출(아출)  (0) 2017.02.13
삼능 효능 부작용 울금  (0) 2017.02.13
빈랑  (0) 2017.02.13
나복자 (무씨)  (0) 2017.02.13
인삼상식 - 백삼과 홍삼의 차이   (0) 2017.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