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적 담적

빈랑

我自覺 2017. 2. 13. 18:34

                

 

 빈랑나무

 

빈랑자

 

대복피(껍질)

 

 

빈랑나무(빈랑자, 대복피)

 

야자나무과(椰子─科 Arecaceae/palmae)에 속하는 교목.

키가 25m 이상에 이르며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잎은 깃털 모양으로 갈라진 겹잎이며 아랫부분이 잎집으로 되어 원줄기를 둘러싼다.

꽃은 흰색이며 육수(肉穗)꽃차례를 이루어 핀다. 빈랑자(betel nut)라고 하는 열매는 지름이 3cm로 둥글거나 타원형인 것 또는 긴 것까지 다양하며 노란색·붉은색·오렌지색 등인데,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 열매를 씹고 있다. 빈랑자는 타닌과 알칼로이드를 함유해 두통·설사·피부병·구충 등에 쓰며, 어린잎은 식용한다. 인도, 스리랑카, 타이, 말레이시아, 필리핀 제도 등에서 재배하고 있다.

 

빈랑은 각종의 장 기생충을 살충하는 작용이 뛰어나고 또한 기생충을 죽인 다음 사하작용으로 기생충을 내보낸다. 살충의 목적에는 신선한 빈랑이 더욱 효과적이다. 빈랑은 기를 통하게 하고 이뇨작용이 있으므로 각기를 다스리는 중요한 약재이기도 하다. 또한 인체의 기를 잘 통하게 하고 수분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체하거나 배속이 더부룩하고 아플 때, 설사를 계속하거나 부종이 있을 때도 이용된다.

 

빈랑설화

중국 남송 시대에 유목지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매우 가난하여 부인의 형제들에게 빌어먹기가 일쑤였는데, 그럴때 마다 수모를 당하였으나 그는 수치스러움을 느끼지 못했다. 그러던 어느날 처가쪽 형제들의 초대를 받게 되었다. 하지만 평소에 남편의 그런 행동을 못마땅하게 여겼던 부인은 남편에게 가지 말도록 하였다. 하지만 남편은 부인의 말을 무시하고 가게 되었다. 그곳에서 다른 손님들이 빈랑이 먹는 것을 보고 처남과 처제에게 빈랑을 갖다 주라고 하자, 처제가 비꼬는 말투로 말하기를 "빈랑은 소화를 시키는 약인데, 형부는 늘 배가 고프니 어찌 먹을 수 있었어요?"
후에 유목지는 높은 관직에 오르게 되었고 그는 처남과 처제들을 불러 연회를 준비했다. 부인은 못 살았을 때 수모를 당했던 남편이 처가 식구들을 초대했다는 말에 감격을 했다. 처남과 처재가 포식을 하고 나서 유모지는 주방에 있는 요리사를 불러 금으로 만든 접시에 빈랑을 담아오게 하였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사람들이 음식을 탐한다는 말로 '걸빈랑'이라는 말이 사용되었으며 빈랑은 식후에 속이 더부룩 하거나 혹은 변비가 있을 때 쓰면 매우 좋은 약으로 지금까지 쓰여지고 있다.

 

 

야자과의 빈랑(榔)의 완숙한 과피로 만든 약재. 

 

약성약간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맵고 조금 떫으며 성질은 약간 따듯하다.[] 

효능모든 기를 내려가게 하고 대소장을 잘 통하게 하여 위와 대장과 소장의 기운을 뚫어 이뇨시킨다. 담이 막혀 있는 것, 가슴과 배가 답답한 것, 부종, 창만, 대변이 시원치 않은 것을 낫게하는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빈랑의 기생충구제작용이 보고되었다

 

주치증상

<開寶本草(개보본초)> : 冷氣(냉기)와 熱氣(열기)가 腹部(복부)를 공격하는 증상을 치료하며

                                   大腸(대장)에 샇인 독을 제거하고 痰(담)으로 막힌 心(심)을 치료한다.

                                   생강 및 소금과 함께 끓여서 氣(기)를 疏通(소통)시키는데 사용하면 좋다.

 

池大明(지대명) : 모든 울체된 氣(기)를 제거하고 霍亂(곽란)를 멎게하며

                         大小腸(대소장)을 통하게 하고 脾胃(비위)를 도와 속을 조화롭게 한다.

 

李時珍(이시진) : 下氣(하기)시키는 작용이 있어서 부종을 없애고

                         脚氣(각기)를 치료하고 나쁜 氣(기)가 침범하여 속이 결리고 불편한 것을 치료한다.

                         임신으로 인하여 속이 매스껍고 답답한 증상을 치료한다.




♧ 구강청결,구충에 효과가 있는 

[빈랑] 이야기 

빈랑은 동남 아시아의 여러나라가 원산지 입니다 

빈랑 열매는 동남아시아 사람들이 오랜동안 이용해 왔으며 

세계적으로 담배와 술, 카페인 다음으로 애용되는 기호품 입니다 

 

 

 

※한약으로 쓰이는 빈랑자는 열매의 잘 익은 씨를 사용합니다 

 

♧청량감을 주고 정신을 맑게 해주는 기호품 

빈랑나무의 열매는 입안을 깨끗하게 해 청량감을 얻고, 기분을 전환시키기 위해 

사용합니다. 특히 졸음을 쫓아주는 역활을 한다고 하여 동남아 사람들은 자주 사용합니다 

타이완 에서는 육체노동을 하는 사람들과 장거리 운전을 하는 기사들이 

졸음을 쫓기위해 자주 찾는답니다.  

※ 단 자주 많이 접하면 치아색이 갈색으로 변하는 단점이 있어요 




            



'식적 담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출(아출)  (0) 2017.02.13
삼능 효능 부작용 울금  (0) 2017.02.13
나복자 (무씨)  (0) 2017.02.13
인삼상식 - 백삼과 홍삼의 차이   (0) 2017.02.13
연자육 효능 부작용  (0) 2017.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