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

[스크랩] 21)화뢰서합(火 雷 噬嗑 )

我自覺 2017. 7. 6. 21:34

火 雷 噬嗑


1)서는 씹는다는 말이고 합은 아래턱과 위턱이 합친 것.

2)구사효가 입속에 들어 있는 장애물이다. 입안에 딱딱한 것이 있는 고로 씹는다. 즉 장애물을 여하히 씹어서 소화 시키는가?의 해결책이 서합괘이다.

3)서민들에게 장애가 되는 간악한 사람을 제거 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4)귀신을 잡아 가두는 괘이다.


1효가 변할 때 : 작은 잘못으로 큰 벌을 대신한다.

2효가 변할 때 : 어려운 여건 속에서 일을 했으니 손해가 있으나 재기한다.

3효가 변할 때 : 실수를 거듭하나 큰 잘못은 없다.

4효가 변할 때 : 어렵지만 바르게 처신하나 큰 복덕은 없다.

5효가 변할 때 : 우연히 재물을 얻으니 공정하게 처신하면 흉을 막는다.

6효가 변할 때 : 실수와 죄를 거듭 했으니 반성하지 않으면 흉하다.

 


噬嗑 은 亨하니 利用獄하니라.
서합     형       이용옥

입안에 장애물을 (구사)씹어서 저장하여 버리는 것이니 亨하니, 형무소를 지어 놓음으로서(악행을 예방하는 것이니)이롭다.

*이용옥-감옥을 지어놓으면 겁을 먹고 감히 나쁜 짓을 못한다.

 

彖曰 頤中有物일새 曰 噬嗑 이니 噬嗑 하야 而亨하니라.
단왈  이중유물      왈 서합        서합        이형

단에 가로되 턱 안에 물건이 있음이  噬嗑 이니, 씹어 합하여 형통 하니라.

剛柔ㅣ 分하고 動而明하고 雷電이 合而章하고
강유    분       동이명       뇌전     합이장

剛과 柔가 나뉘고, 움직여서 밝고, 우뢰와 번개가 합하여 빛나고,                        

柔得中而上行하니 雖不當位나 利用獄也ㅣ니라.
유득중이상행       수부당위    이용옥야

柔가 中을 얻어  위로 올라가니, 비록 位는 당치 않으나 옥을 씀이 이로우니라.

 

象曰 雷電이 噬嗑 이니 先王이 以하야 明罰勅法하니라.
상왈 뇌전    서합        선왕    이       명벌칙법

상에 가로되 우뢰와 번개가  噬嗑 이니, 선왕이 이로써 벌을 밝히고 법을 신칙하느니라.

*명벌칙법-벌을 밝히고 법을 공포하고 실시한다.

 

初九는  屨校하야 滅趾니 无咎하니라.
초구     구교       멸지    무구

초구는 형틀에 잡아 메어놓고 발뒤꿈치를 베어 버리니 허물이 없느니라.

*멸지- 발뒤꿈치를 벤다. 가장 작은 형벌이다. 초구이니 경범죄에 해당한다.

*무구-작은 죄 일 때는 벌을 받으면 재범하지 않으니 무구이다.

象曰 屨校滅趾는 不行也ㅣ라.
상왈 구교멸지    불행야

상에 구교멸지는 다시는 죄를 범하지 못하게 함이라.

*불행야-향후 그런 죄를 다시는 행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六二는  噬膚호대 滅鼻니 无咎하니라.
육이     서부       멸비     무구

육이는 살을 씹되 코를 멸하니 허물이 없느니라.

*남의 살을 깊이 물다가 물어뜯던 사람의 코가 찌부려 졌으니 허물을 없다.

象曰 噬膚滅鼻는 乘剛也 새라.
상왈 서부멸비    승강야

상에 가로되 噬膚滅鼻는 柔가 剛을 탓기 때문이라.

 

六三은 噬腊肉하다가 遇毒이니 小吝이나 无咎ㅣ리라.
육삼    서석육          우독       소린       무구

육삼은 말린 고기를 씹다가 독을 만나니, 조금 인색하나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 遇毒은 位不當也ㅣㄹ새라.
상왈 우독    위부당야

상에 가로되 遇毒은 位가 마땅치 않음이라.

*거센 반발에 부딪치는 것은 位가 합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九四는噬乾胏하야 得金矢나 利艱貞하니 吉하리라.
구사   서간채       득금시    이간정       길

구사는 마른 고기를 씹다가 금과 화살을 얻으나, 어렵고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길하리라.

*마른고기를 씹다가 강한물건을 얻었으나 어려우나 조심해서 씹는데 정고히 하면 이로울 것이니 길 할 것이다.

象曰 利艱貞吉은 未光也ㅣ라.
상왈 이간정길    미광야

상에 가로되 利艱貞吉은 입안에 장애물이 해소되었기 때문이다.

 

六五는 噬乾肉하야 得黃金이니 貞厲ㅣ면 无咎ㅣ리라.
육오    서간육       득황금       정려       무구

육오는 마른 고기를 씹어서 황금을 얻으니, 바르고 위태하게 하면 허물이 없으리라.

*정려-바르고 두려워하면, 잘 씹어 없애 버리면

象曰 貞厲无咎는 得當也ㅣㄹ새라.
상왈 정려무구    득당야

상에 가로되 정려무구는 마땅함을 얻음이라.

 

上九는 何校하야 滅耳니 凶토다.
상구    하교       멸이    흉

상구는 형틀을 매어서 귀를 멸하니, 흉토다.

*상구는 큰 죄를 지은 상황이다.

*멸이-목에 칼을 씌워서 귀를 자르게 하는 것.

象曰 何校滅耳는 聰不明也 새라.
상왈 하교멸이    총불명야

상에 가로되 何校滅耳는 듣는 것이 밝지 못함이라.

출처 : 金烏김홍경을 사랑하는 사람들
글쓴이 : bada 원글보기
메모 :

'주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23)산지박( 山 地 剝 )  (0) 2017.07.06
[스크랩] 22)산화비( 山 火 賁 )  (0) 2017.07.06
[스크랩] 20)풍지관(風地觀)  (0) 2017.07.06
[스크랩] 19)지택림(地澤臨)  (0) 2017.07.06
[스크랩] 18)산풍고(山風蠱)  (0) 2017.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