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기약] - 원기를 복돋아 주는 효능의 약재
백편두(까치콩)은
콩과에 속한 일년생 덩굴성 식물인 편두(까치콩)의 과실을 건조한 것으로 가을에 완숙한 백색의 종자를 채취하여 햇볕에 건조합니다.
* 백편두의 다른 이름: 까치콩, 나물콩, 제비콩, 미두, 변두, 남편두, 편두, 남편두, 양안두, 아미두
백편두(까치콩)의
성미는 달고 무독하며 따뜻합니다.
귀경은 비경, 폐경, 위경에 작용합니다.
백편두(까치콩)은
구설(오랜동안 설사를 함), 변당(설사), 구토, 식소(비위가 허해서 음식을 조금밖에 먹지 못함), 주독(술로 인한 중독) 등에 효능이 있습니다.
백편두(까치콩)은
건비화중(비장을 튼튼하게 하고 속을 조화롭게 함),
건비화위(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편안하게 함),
백대과다(여성의 생식기에서 분비되는 과량의 백색 분비물),
소서화습(서사(여름철 더위가 병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와 습사(습기가 병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를 제거함),
서습토사(덥고 습한 기운으로 토하고 설사를 함),
비허구역(비장(소화기)의 기가 허약해서 구토를 함),
비허구토(비장의 기가 허약하여 음식물을 소화시키지 못하고 토해냄),
식소구설(식사량이 적으며 오랫동안 설사를 함),
수정소갈(몸안에 수습이 정체되어 갈증이 남),
적백대하(여성의 생식기에서 분비되는 붉거나 흰색의 분비물),
소아감적(소아가 비위의 기능장애로 여위는 것
식물중독(유독 식물에 닿거나 먹어서 일어나는 중독)
등을 치료합니다.
섭취시 주의사항 / 백편두(까치콩) 부작용
상한한열(상한(추위로 인해 생기는 병)에 오한, 별열, 두통이 있음)과 외사(외부의 사기)가 성한 데는 섭취를 금합니다.
생품은 유독하며 가열한 후에는 독성이 매우 약해집니다.


'식적 담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연자육 효능 부작용 (0) | 2017.02.13 |
|---|---|
| 목향 (0) | 2017.02.13 |
| 산약 부작용 효능 (0) | 2017.02.13 |
| 황기 부작용 및 효능 (0) | 2017.02.13 |
| <백복령> 백복령(복령)의 효능 및 부작용 (0) | 2017.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