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압,양생법

근막통증증후군의 원인 : 트리거포인트(trigger point)

我自覺 2018. 2. 7. 10:43

근막통증증후군

 


근막통증증후군의 원인 : 트리거포인트(trigger point)

근막통증증후군에서 빼놓을 수 없는 개념이자 가장 많이 언급되는 단어가 바로 트리거포인트입니다.
트리거포인트는 근육에 통증을 일으키는 부분으로 통증유발점이라고도 합니다.
근육을 이루고 있는 근섬유들이 오랜 시간동안 사용하거나 갑자기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근섬유가 단단한
매듭처럼 뭉치게 되는데, 그 뭉친 부분이 바로 트리거포인트입니다.

이 매듭으로 인해 근육의 탄력성이 저하되어 근육통증이 일어나기도 하고,
혈액의 흐름을 막아 부종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트리거포인트는 통증을 발생시키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통증과 함께 근육을 약화시키고,
관절의 움직임을 제한하며 근육기능의 이상을 불러오는 것이 더 큰 문제입니다.


트리거포인트가 통증을 발생시키는 이유는??
근막(근육을 둘러싸고 있는 얇은 막)의 통증 유발점은 갑작스럽게 근육에 스트레스가 가해지거나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한 결과, 조직이 손상되고 근육세포 내의 칼슘 농도 조절에 이상이 발생하면서
근막통증증후군이 시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근육의 일부분이 지속적으로 수축하면 그 부위에 대사산물이 증가하여 축적되고,
그 결과 주위 혈관이 압박되어 혈류가 감소하게 됩니다.
 
또한, 유발점으로부터 척수로 들어가는 여러 신경섬유가 자극되어
연관통증(referred pain)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방사통이라고도 불리는 연관통증은 체내에 병적인 변화가 일어났을 때, 그 부위에는 통증이 나타나지 않고
그 부위와 떨여져 있는 피부표면의 특정 부위에 통증 또는 감각 과민이 느껴지는 증상을 말합니다. 
 
한마디로 손상된 그 부위가 아픈것이 아니라, 다른곳에서 통증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예 1) 장시간 컴퓨터 사용으로 어깨 뒤에 붙어있는 승모근 상부의 근섬유(X 표시점)가 단단한 매듭처럼 뭉치게
           되어 트리거포인트가 생기면, (편)두통, 턱각 부위의 통증이나 목 바깥쪽이 뻣뻣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붉은색 부위가 통증부위


(예 2) 평소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로 인해 골반 바깥쪽에 붙어 있는 소둔근(X 표시점)이 손상되거나 굳으면
         엉덩이나 다리 바깥쪽이 저리거나 땡기고 아픈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붉은색 부위가 통증부위



우리가 두통이 있거나 다리가 저리고 아플 때 아픈 부위(붉은색 부위)에 파스를 붙이거나 약을 복용하지 않아도, X 표시 지점(트리거포인트)의 근육을 풀어주거나 스트레칭을 해주면 바로 통증이 해소되는 것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더 근본적인 해결은 바른 자세와 평상시 적절한 운동 및 움직임을 통하여
이들 근육을 부드러우면서도 튼튼하게 만들어 근육이 굳거나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