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온해표약(辛溫解表藥) 인체가 이물질(異物質)에 감염될 경우에는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 하나는 인체에 작용하는 힘이 약한 이물질(Adeno virus, Rhino virus 등)에 감염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인체에 작용하는 힘이 강한 이물질(용혈성 연쇄상구균, 결핵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에 감염되는 것이다.
태양병중풍(太陽病中風) 인체에 작용하는 힘이 약한 이물질에 감염되었을 때 인체는 발열중추를 자극하여 열을 나게 해서 이물질을 사멸시키려고 노력할 뿐만 아니라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이물질을 땀으로 배설하려고 하는 방어반응을 시도한다. 그리하여 이런 약한 이물질에 감염되면 인체는 정상보다 과도하게 발한(發汗)을 시도하고, 그 과정에서 체액이 배설되어 춥고, 혈관수축으로 인하여 두통을 호소하게 된다. 이 증상을 한방에서는 태양병 중풍(中風)이라고 하며, 혈관을 확장하여 두통을 완화하고, 발한(發汗)을 억제하여 체온을 보존하는 약물을 사용한다.
태양병상한(太陽病傷寒) 평소에는 섭씨 36.5도의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땀으로 일부의 체열을 배설하고 있는 인체가, 만약 용혈성 연쇄상구균이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같은 강한 이물질(異物質)에 감염되면, 고열(高熱)로 이물질(異物質)의 힘을 약화시키기 위해, 발열중추를 자극하여 발열시킬 뿐만 아니라 정상적으로 배설되는 땀의 배설도 억제하여 열을 축적한다. 이 방어작용 때문에 인체는 고열(高熱)로 온몸이 아프고 괴롭게 된다. 이 증상을 한방에서는 태양병 상한(傷寒)이라 하며, 혈관을 수축하고 혈류를 촉진함으로써 발한(發汗)시켜서 체열을 방출하여 체온을 정상화시키는 약물을 사용해야 한다. 이처럼 체표(體表)에서 혈액순환을 조절하여 체온을 정상화시키는 약물은 본초의 성분 중에서 매운 맛을 내는 정유(精油)부분에 속하므로 이 약을 신온해표약(辛溫解表藥)이라 한다.
2) 신량해표약(辛凉解表藥) 인체에 작용하는 힘이 매우 강한 이물질(異物質)이 침입하면 인체가 고열을 내게 되는데, 이 때는 발한(發汗)시키는 약만으로 열이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고열(高熱)이 나타나므로, 발한(發汗)시키는 약과 함께 해열작용하는 약물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렇게 강한 해열작용을 하는 약을 신량해표약(辛凉解表藥)이라 한다.
3) 청열사화약(淸熱瀉火藥) 항원항체반응에 의해서 고열(高熱)이 날 때 신경안정작용과 해열작용, 항균작용하는 약물.
4) 청열조습약(淸熱燥濕藥) 혈액의 점도가 높아서 마찰열이 있고, 항원항체반응에 의해서 열이 날 때, 항균작용을 하고 혈액의 점도를 저하하는 작용을 하는 약물.
5) 청열량혈약(淸熱凉血藥) 혈소판응고가 항진되어 마찰열이 생기거나, 항원항체반응에 의해서 열이 날 때, 항균작용을 하고 혈소판응고를 억제하는 약물.
6) 청열해독약(淸熱解毒藥) 강한 항균작용과 소염작용이 있는 약물.
7) 청허열약(淸虛熱藥) 만성적인 항원항체반응으로 열이 나면서 영양분의 소모가 많을 때 영양분을 공급하면서 항균, 해열작용하는 약물.
8) 공하약(攻下藥) 대장점막의 수분 흡수를 억제하여 설사를 유도하는 약물
9) 윤하약(潤下藥) 장점막에 자윤을 공급하여 배변을 원활하게 하는 약물.
10) 준하축수약(峻下逐水藥) 대장이 흡수하는 수분 이외에 세포간질에 있는 수분까지도 장(腸)을 통해서 배설하게 하는 이수(利水)작용이 있는 약물.
11) 거풍습약(祛風濕藥) 혈류를 촉진하여 피하에 정체된 수독을 피부로 배설하게 하여 피하(皮下) 수독(水毒)의 정체로 인한 신중감(身重感), 마비감 등을 개선하고 진통작용을 하여 통증을 완화하는 약물.
12) 방향화습약(芳香化濕藥) 위장의 박동원(博動原, Pace maker)을 활발하게 하여 소화관에 정체된 내용물의 배출을 촉진하고, 이뇨작용을 하여 소화관점막의 부종을 완화하는 약물.
13) 이수삼습약(利水渗濕藥} 이뇨작용과 수렴작용하는 약물.
14) 온리약(溫裏藥) 소화관에 분포된 모세혈관의 운동능을 강화하여 소화관의 체온을 정상화시키는 약물.
15) 이기약(理氣藥) 소화관의 박동원(博動原, Pace maker)을 활발하게 하여 내용물의 배출을 원활히 하는 약물.
16) 소식약(消食藥) 소화효소약.
17) 구충약(驅蟲藥) 기생충을 구축하는 약물
18) 양혈지혈약(凉血止血藥) 항혈전작용을 하여 지혈시키는 약물
19) 수삽지혈약(收澁止血藥) 혈소판응고를 항진하여 지혈시키는 약물.
20) 화어지혈약(化瘀止血藥) 혈소판응고를 억제하여 혈액을 순환하게 하여 지혈시키는 약물.
21) 온경지혈약(溫經止血藥) 혈관장력을 강화하여 지혈시키는 약물.
22) 활혈조경지통약(活血調經止痛藥}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진통작용하는 약물.
23) 파혈축어소징약(破血逐瘀消 藥) 혈소판응고를 억제하고 혈전을 제거하며 혈관운동능을 강화하는 약물.
24) 온화한담약(溫化寒痰藥) 기관지점막을 자극하여 담(痰)의 배출을 촉진하는 약물
25) 청화열담약(淸化熱痰藥) 항균작용하여 담(痰)이 생기지 않게 하고 거담(祛痰)작용하는 약물.
26) 지해평천약(止咳平喘藥) 진해거담(鎭咳祛痰)작용을 하는 약물.
27) 중진안신약(重鎭安神藥) 신경을 안정시키는 약물
28) 양심안신약(養心安神藥) 뇌신경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정신을 안정시키는 약물.
29) 평간잠양약(平肝潛陽藥) 신경안정작용과 뇌혈관의 경련을 억제하는 약물.
30) 평간식풍약(平肝熄風藥} 뇌혈관의 경련을 억제하고 뇌파의 이상발작을 억제하는 약물
31) 개규약(開竅藥) 중추신경을 흥분시키는 약물.
32) 보기약(補氣藥) 에너지생성을 촉진하는 약물
33) 보양약(補陽藥) 부신(副腎)을 자극하여 Anabolic steroid hormone의 분비를 촉진함으로써 정력(精力)을 증강시키고, 근골을 튼튼하게 하는 약물.
34) 보혈약(補血藥) 골수를 자극하여 혈액생성을 촉진하고 혈액의 원료를 공급하는 약물.
35) 보음약(補陰藥) 만성적인 항원항체반응으로 인체에 영양분의 손실이 많을 때 영양분을 공급하는 약물.
36) 수삽약(收澁藥)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간질액의 피부배설을 억제하여 지한(止汗)작용하는 약물.
37) 삽정지사약(澁精止瀉藥) 장을 수렴하여 설사를 멎게 하는 약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