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52)중산간(重山艮)
중산간(重山艮)
1)간은 신이 중첩되어있어 서로 상통되지 않고 있다. 간은 止이므로 그침이다.
2)간괘는 육효가 전부 상응이 없다. 서로 정지된 상태이니 조화가 없는 형상이다.
1효가 변하거나 주가될 때 : 잘못이 없다면 재빨리 대처하라.
2효가 변하거나 주가될 때 : 그저 남을 따라 가니 좋을 리 가 없다.
3효가 변하거나 주가될 때 : 책임은 막중하나 힘이 약하니 근심뿐이다.
4효가 변하거나 주가될 때 : 위험을 벗어나니 길하다.
5효가 변하거나 주가될 때 : 욕심이 없고 말에 책임을 지니 길하다.
6효가 변하거나 주가될 때 : 두텁게 일을 책임지니 공이 크다.
艮其背면 不獲其身하며 行其庭하야도 不見其人하야 无咎ㅣ리라.
간기배 불획기신 행기정 불견기인 무구
그 등에 그치면 그 몸을 얻지 못하며, 그 뜰에 들어와도 그 사람을 보지 못한다. 허물이 없으리라.
*간기배-사람은 자기의 등을 볼수 없는 것에서 그친다. 보이지 않는 곳에 머문다는 것은 도통경지에 들어가면 자기 몸이 있음을 느끼지 못한다.
彖曰 艮은 止也ㅣ니 時止則止하고 時行則行하야
단왈 간 지야 시지즉지 시행즉행
단에 가로되 艮은 그침이니, 때가 그칠 때면 그치고 때가 행할 때면 행하여,
動靜不失其時ㅣ 其道ㅣ 光明이니 艮其止는 止其所也ㅣㄹ새라.
동정불실기시 기도 광명 간기지 지기소야
움직이며 그침에 그때를 잃지 아니함이 그 도가 광명하니, ''艮其(止)背'는 그곳에 그침이라.
*기도광명-그 도가 밝고 빛이 난다는 뜻. 산이 적연부동이니 그 도가 광명하다는 것이다.
上下ㅣ 敵應하야 不相與也ㅣㄹ새,是以不獲其身行其庭不見其人无咎也ㅣ라.
상하 적응 불상여야 시이불획기신행기정불견기인무구야
상하가 적응하여 서로 더불지 못하니, 이로써 不獲其身行其庭不見其人无咎也니라.
象曰 兼山이 艮이니 君子이 以하야 思不出其位하나니라.
상왈 겸산 간 군자 이 사불출기위
상에 가로되 산이 아울러 있는 것이 艮이니, 군자가 이로써 생각을 그 位에 나아가지 아니하느니라.
*사불출기위-생각이 그 위에서 벗어나지를 아니한다.
初六은 艮其趾라. 无咎하니 利永貞하니라.
초육 간기지 무구 이영정
초육은 그 발꿈치에 그침이라. 허물이 없으니, 길이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이영정-곤괘 用六에서 나온 말이다.貞은 正이라 경계사이다.
象曰 艮其趾는 未失正也ㅣ라.
상왈 간기지 미실정야
상에 가로되 艮其趾는 바름을 잃지 아니함이라.
六二는 艮其腓니 不拯其隨ㅣ라 其心不快로다.
육이 간기비 부증기수 기심불쾌
육이는 그 장딴지에 그침이니, 구원하지 못하고 따르는 자라. 그 마음이 유쾌하지 아니하도다.
*비-장단지 비, 증-구원할 증
象曰 不拯其隨는 未退聽也ㅣㄹ새라.
상왈 부증기수 미퇴청야
상에 가로되 不拯其隨는 물러나 듣지 아니함이라.
*즉 아랫사람의 말을 들어야한다.
九三은 艮其限이라 列其夤이니 厲ㅣ 薰心이로다.
구삼 간기한 열기인 려 훈심
구삼은 그 허리에 그침이라. 그 등뼈를 다스림이니, 위태하여 마음을 흐리게 하는 것이다.
*여훈심-근심스러워 두근두근하는 모양
象曰 艮其限이라 危ㅣ 薰心也ㅣ라.
상왈 간기한 위 훈심야
상에 가로되 그 허리에 그침이라. 위태로워서 마음을 흐리게 한다는 것이다.
六四는 艮其身이니 无咎ㅣ니라.
육사 간기신 무구
육사는 그 몸에 그침이니 허물이 없느니라.
象曰 艮其身은 止諸躬也ㅣ라.
상왈 간기신 지제궁야
상에 가로되 艮其身은 그 몸에 그침이라.
*신-일반적인 몸을 말한다.
*궁-활동하는 즉 굴신(屈伸)하는 몸을 말한다.
六五는 艮其輔ㅣ라. 言有序ㅣ니 悔亡하리라.
육오 간기보 언유서 회망
육오는 그 볼에 그침이라. 말이 차례가 있음이니 후회가 없으리라.
*보- 도울 보, 광대뼈 보
象曰 艮其輔는 以中으로 正也ㅣ라.
상왈 간기보 이중 정야
상에 가로되 艮其輔는 중용지도를 가지고 정도를 하기 때문이다.
上九는 敦艮이니 吉하니라.
상구 돈간 길
상구는 도타웁게 그침이니 길하니라.
象曰 敦艮之吉은 以厚終也ㅣㄹ새라.
상왈 돈간지질 이후종야
상에 가로되 敦艮之吉은 도탑게 함으로써 마침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