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30)중화리(重 火 離 )
重 火 離
1)이괘는 선천의 마지막 괘이다.
2)이는 걸려 있다. 태양이 공중에 걸려있다. 해를 중심으로 설명을 하였다.
3)불이 2개이니 화력이 강하다. 경솔한 행동을 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암소를 기르면 길하다고 하였다. 이괘를 보고 그물을 고안하였다.
1효가 변할 때: 함부로 움직이지 않으면 허물이 없다.
2효가 변할 때: 밝게 비추고 공명하게 하니 길하다
3효가 변할 때: 망령된 헛생각을 하여 낭패를 당한다.
4효가 변할 때: 갑자기 힘든 일을 당하여 포기하는 상태
5효가 변할 때: 동정심을 받아야 되고 겸손하여야 길하다.
6효가 변할 때: 나와 반대의 사람을 처단하니 주위가 정리된다.
離는 利貞하니 亨하니 畜牝牛하면 吉하리라.
리 이정 형 휵빈우 길
離는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형통하니, 암소를 기르면 길하리라.
*휵빈우-소는 유순한 덕을 기른다. 행동을 유순하게 하면 길하다.
彖曰 離는 麗也 ㅣ니 日月이 麗乎天하며 百穀草木이 麗乎土하니
단왈 리 여야 일월 여호천 백곡초목 여호토
단에 가로되 離는 걸림이니, 해와 달이 하늘에 걸리며 百穀과 초목이 땅에 걸리니,
重明으로 以麗乎正하야 乃化成天下하나니라.
중명 이여호정 내화성천하
거듭 밝음으로써 바른 데 걸려 이에 천하를 화하여 이루느니라.
柔ㅣ 麗乎中正故로 亨하니 是以畜牝牛吉也ㅣ라.
유 여호중정고 형 시이휵빈우길야
부드러운 것이 中正에 걸린 까닭에 형통하니, 이로써 암소를 기르면 길함이라.
象曰 明兩이 作離하니 大人이 以하야 繼明하야 照于四方하나니라.
상왈 명량 작리 대인 이 계명 조우사방
상에 가로되 밝은 것 둘이 이괘를 만들었나니 큰 인물이 밝은 것을 이어가지고 군자의 덕이 태양과 같이 모든 나라에 빛난다.
*조우사방-대인의 덕이 온 나라에 미친다.
初九는 履ㅣ 錯然하니 敬之면 无咎ㅣ리라.
초구 리 착연 경지 무구
초구는 밟는 것이 섞이니 공경하면 허물이 없으리라.
*착연-이리저리 엉켜 있으니
*경지-조심하면, 공경하면
象曰 履錯之敬은 以避咎也ㅣ라.
상왈 이착지경 이피구야
상에 가로되 履錯之敬은 허물을 피함이라.
六二는 黃離니 元吉하니라.
육이 황리 원길
육이는 태양처럼 환히 비치니 길하니라.
*황리-정오, 대낮의 태양. 황-중앙 土의 색
象曰 黃離元吉은 得中道也ㅣ라.
상왈 황리원길 득중도야
상에 가로되 黃離元吉은 中道를 얻음이라.
九三은 日仄之離니 不鼓缶而歌ㅣ면 則大耋之嗟ㅣ라 凶하리라.
구삼 일측지리 불고부이가 즉대질지차 흉
구삼은 해가 기울어졌으니 질그릇 북을 두드리며 노래하지 아니하면(자연에 순응하여 즐거워하지 아니하면) 죽은 날을 받아 놨다고 망년된 생각을 갖는다면(대질지차) 흉할 것이다.
象曰 日仄之離ㅣ 何可久也ㅣ리오.
상왈 일측지리 하가구야
상에 가로되 日仄之離가 어찌 가히 오래갈 수 있으리오.
九四는 突如其來如ㅣ라 焚如ㅣ니 死如ㅣ며 棄如ㅣ니라.
구사 돌여기래여 분여 사여 기여
구사는 돌연히 그 오는 것이라. 불사르며 죽이며 버려지느니라.
*선 후천이 바뀌는 형태는 문뜩 오는 것이며, 타며 죽으며 버려진다.
象曰 突如其來如는 无所容也ㅣ니라.
상왈 돌여기래여 무소용야
상에 가로되 突如其來如는 용납할 바가 없느니라.
*피할 때가없다. 몸 둘 곳이 없이 파멸된다.
六五는 出涕沱若하며 戚嗟若이니 吉하리라.
육오 출체타약 척차약 길
육오는 눈물 나옴이 물 흐르는 듯하며 슬퍼서 슬퍼하니 길하리라.
*육오는 밝은 임금이기는 하나 외면상으로는 눈물을 흘리는 것처럼 하며 내적으로는 탄식하며 진심으로 슬퍼하면 길 할 것이다.
*체-눈물 체 타-흘릴 타
*척차야-척(슬플 척, 근심할 척) 슬픈 것같이 하면
象曰 六五之吉은 離王公也 새라.
상왈 육오지길 이왕공야
상에 가로되 六五之吉은 임금의 자리에 앉아있기 때문이라.
*임금은 백성을 위하는 자리이다. 자기 자신을 위하는 것이 아니다.
上九는 王用出征이면 有嘉ㅣ니 折首코 獲匪其醜ㅣ면 无咎ㅣ리라.
상구 왕용출정 유가 절수 획비기추 무구
상구는 왕이 직접 출정을 하면 세상을 건지게 되니 이것은 아름다움이 있는 것과 같다. 우두머리를 베어버리고 나와 반대되는 그 추한 것을 거두어 버리면 허물이 없을 것이다.
*유가-아름다운 공이 있다. 도통군자가 세상을 건지면 유가가 된다.
象曰 王用出征은 以正邦也ㅣ라.
상왈 왕용출정 이정방야
상에 가로되 王用出征은 나라를 바로 잡는 것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