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18)산풍고(山風蠱)
山 風 蠱
1)그릇위에 벌레가 세 마리 있는 형상이다. 접시(皿)위에 벌레(虫)이다.
2)음식물이 부패되어 벌레가 쏟아져 나온다. 질서가 무너졌다. 부패와 혼란의 시기에는 혁신 혁명을 하여야 한다.
3)이 세상에서 좀먹는 것을 여하히 처리할 것인가를 가르쳐 준다.
1효가 변할 때 : 부모의 잘못을 아들이 이어 받으니 조심하면 길하다.
2효가 변할 때 : 어미의 정절을 의심하여 따지면 바르게 처신하지 못한다.
3효가 변할 때 : 강하게 나가면 후회하나 부드럽게 나가면 길하다.
4효가 변할 때 : 우유부단하고 나태한데도 자구 나아가고자 하니 얻는 것도 없다.
5효가 변할 때 : 현명한 아래 사람의 도움으로 어려움을 이겨낸다.
6효가 변할 때 : 명예와 지위를 버리고 은거한다면 본받을 것이다.
蠱는 元亨하니 利涉大川이니 先甲三日하며 後甲三日이니라.
고 원형 이섭대천 선갑삼일 후갑삼일
고는 크게 형통하니,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로우니, 갑일 보다 삼일 앞서 하며 갑일 보다 삼일 뒤에 한다.
彖曰 蠱는 剛上而柔下하고 巽而止ㅣ蠱ㅣ라.
단왈 고 강상이유하 손이지 고
단에 가로되 蠱는 剛이 위에 하고 柔가 아래하고, 겸손해서 그침이 고라.
蠱ㅣ 元亨하야 而天下ㅣ 治也ㅣ오 利涉大川은 往有事也ㅣ오
고 원형 이천하 치야 이섭대천 왕유사야
고가 크게 형통해서 천하가 다스려짐이요, 利涉大川은 가서 일을 둠이요,
*왕유사야-무슨 일에 대해서나 무사히 돌파하는 것.
先甲三日後甲三日은 終則有始ㅣ 天行也ㅣ라.
선갑삼일후갑삼일 종즉유시 천행야
先甲三日後甲三日은 마치면 곧 비롯함이 있음이 하늘의 행함이라.
象曰 山下有風이 蠱ㅣ니 君子ㅣ 以하야 振民하며 育德하나니라.
상왈 산하유풍 고 군자 이 진민 육덕
상에 가로되 산 아래 바람이 있는 것이 蠱니, 군자가 이로써 백성을 진작시키며 덕을 기르느니라.
初六은 幹父之蠱ㅣ니 有子ㅣ면 考ㅣ 无咎하리니 厲하야아 終吉이리라.
초육 간부지고 유자 고 무구 려 종길
초육은 아버지의 잘못을 바로 잡는 것이니 착한 자식이 있으면 죽어도 허물이 없으리니, 조심하게 해야 마침내 길하리라.
*유자면-어진 아들이 있으면
象曰 幹父之蠱는 意承考也ㅣ라.
상왈 간부지고 의승고야
상에 가로되 幹父之蠱는 뜻이 죽은 아비를 이음이라.
*의승고야-아버지의 뜻에 따라하는 것.
九二는 幹母之蠱ㅣ니 不可貞이니라.
구이 간모지고 불가정
구이는 어머니의 잘못을 바로 잡는 것이니 가히 바르지 못하느니라.
*어머니의 정조에 대해서 까지 간섭해서는 불가하다.
*바른 것만 고집해서는 불가하고, 중도에 맞게 행동하여야 한다.
象曰 幹母之蠱는 得中道也ㅣ라.
상왈 간모지고 득중도야
상에 가로되 幹母之蠱는 중용지도를 얻음이라.
九三은 幹父之蠱ㅣ니 小有悔나 无大咎ㅣ리라.
구삼 간부지고 소유회 무대구
구삼은 아버지의 잘못을 지나치게 맞서는 식으로 간섭하지 말고 부드럽게 간해서 아버지가 받아들이도록 하면, 조금 후회가 있으나 크게 허물은 없으리라.
象曰 幹父之蠱는 終无咎也ㅣ니라.
상왈 간부지고 종무구야
상에 가로되 幹父之蠱는 마침내 허물이 없음이라.
六四는 裕父之蠱ㅣ니 往하면 見吝하리라.
육사 유부지고 왕 견린
육사는 아버지의 잘못을 너그럽게 함이니 그대로 나가면 인색함을 보리라.
*위 어른의 잘못에 대하여 방관적인 자세로 있으면 부끄러운 일이 생긴다.
象曰 裕父之蠱는 往앤 未得也ㅣ라.
상왈 유부지고 왕 미득야
상에 가로되 裕父之蠱는 감엔 얻지 못함이라.
六五는 幹父之蠱ㅣ니 用譽리라.
육오 간부지고 용예
육오는 아버지의 잘못에 적절하게 하니 앞으로도 좋아질 것이다.
*용예-앞으로 좋아질 것이다.
*구삼의 간부지고는 과격하게 지나치게 간섭하는 것.
*구오의 간부지고는 맞서지 않고 적절히 잘 행동하는 것.
象曰 幹父用譽는 承以德也ㅣ라.
상왈 간부용예 승이덕야
상에 가로되 幹父用譽는 이음을 덕으로써 함이라.
*승이덕야-아버지의 좋은일 그 덕을 이어 받는다. 그 아버지에 그 아들이 되었기 때문이다.
上九는 不事王侯하고 高尙其事ㅣ로다.
상구 불사왕후 고상기사
상구는 왕후를 섬기지 아니하고, 그 일을 높이 숭상하도다.
*모든 욕심을 버리고 자기의 삶을 고결하게 여긴다.
*불사왕후-임금의 잘못을 간섭하지 않고, 모든 욕심을 버리고
*고상기사-높이 그 일을 숭상한다. 자기의 삶을 고결하게 여긴다.
象曰 不事王侯는 志可則也ㅣ라.
상왈 불사왕후 지가칙야
상에 가로되 不事王侯는 뜻이 가히 본받을 만함이라.
*지가칙야-뜻을 가히 法할 만하다. 뜻을 가히 본받을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