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적 담적
목향
我自覺
2017. 2. 13. 18:09
목향
동의어 청목향(靑木香) 다른 표기 언어 木香
학명 | Inula helenium |
---|---|
분포지역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밭에 재배 |
번식 | 분주·씨 |
약효 부위 | 뿌리·온포기 |
생약명 | 토목향(土木香) |
키 | 0.8~2m |
과 | 국화과 |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
채취기간 | 가을~겨울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따뜻하며, 맵고 쓰다. |
독성여부 | 없다. |
1회 사용량 | 3~6g |
주의사항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운목향·천목향의 뿌리 |
잎
어긋나며 길이 50cm 정도의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뒷면에 털이 촘촘히 나 있다.
꽃
7~8월에 황색으로 피는데 지름 5~10cm의 두상화가 줄기 위쪽의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린다. 꽃차례받침은 길이 24mm 정도 되는 반구형이다. 바깥쪽의 꽃턱잎 조각은 달걀꼴이고 잎에 돋은 것과 같은 털이 촘촘히 난다.
열매
9~10월에 수과가 달려 익는데 연한 적갈색의 갓털이 있다.
특징 및 사용 방법
청목향(靑木香)이라고도 하고 향기가 좋아 밀향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곧게 서며 전체에 짧은 털이 촘촘히 나 있다. 뿌리를 목향(木香)이라 한다. 뿌리를 자른 단면은 황갈색 또는 황백색이다. 관상용·약용·식용으로 이용된다. 연한 목향 잎을 감초물에 삶아서 무친 나물을 목향채(木香菜)라 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한다.
효능
주로 소화기와 호흡기 질병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강장보호, 개창, 건비위, 건위, 곽란(건곽란), 구충, 구토, 기관지염, 담, 동통, 복통, 부종, 위경련, 위염, 진통, 폐결핵, 해수, 행기